java7 [ 프로그래머스 ] 9로 나눈 나머지 문제 설명 풀이 1. 문자열 안에 있는 number(수)의 인덱스 값을 구한다. 2. 각 인덱스 값을 정수로 변환한다. 3. sum 변수에 누적시켜 인덱스 값들의 합을 구한다. 4. 인덱스 값들의 합을 9로 나눈다. 이 때 크게 2가지 메서드를 사용하였다! 👇🏻 .charAt(); // 각 인덱스에 있는 값을 가져옴 .getNumbericValue(); // 가져온 인덱스들을 정수로 변환시켜줌 결과 끝 ! JAVA와 관련된 문제를 풀려면 많은 메서드를 알아두면 좋겠단 생각이 든다.. 처음에 어떤 식으로 풀어야 할지 이해가 안 되었지만, 위 2개의 메서드를 사용하니 더 쉽게 문제가 풀렸던 것 같다. 이를 토대로 알게된 것들을 한 번만 보지 않고 기록을 하면서 여러번 반복해야겠다. 2024. 1. 13. [프로그래머스] 문자열로 변환 ### 문제 설명 정수 n이 주어질 때, n을 문자열로 변환하여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이 문제는 정수를 문자열로 반환하는 문제이다. 그러므로 String.valueOf() 메소드를 이용해서 풀어보았다. String.valueOf() 메서드 기본 타입(byte, short, char, int, long, float, double, boolean)의 값을 문자열로 변경할 때 사용 String str = String.valueOf(기본타입값); class Solution { public String solution(int n) { String answer = String.valueOf(n); return answer; } } 이렇게 String.valueOf() 메서드를 사용.. 2024. 1. 7. 배열 이번 시간에 배운 배열에 대해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배열은 ① 같은 데이터형의 데이터를 여러개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. ② 같은 종류의 데이터를 여러개 저장하는 기억장소다. ③ 메모리를 절약하면서 쉽고 간결한 프로그램 작성 가능 ④배열은 객체(new)로 처리하며 참조형 변수다(Call by reference) 배열의 장점 ① 가독성이 좋음 ② 처리속도가 빠름 ③ 유지보수가 편하다. 배열법 1) 배열 선언 데이터형 배열변수명 [ ] ; 또는 데이터형[ ] 배열변수명; 이렇게 지정할 수 있습니다. *단 배열의 크기를 지정할 수 없습니다 2) 배열 생성 배열변수명 = new 데이터형[ 배열의 길이 ] ; - 몇 개의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 크기를 지정해야 되며 -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한다 3) 초기화 배열객.. 2023. 7. 12. 이전 1 2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