filter()2 [ 프로그래머스 ] 세 개의 구분 문제 풀이1. split()으로 'a', 'b', 'c'를 기준으로 myStr을 문자열 배열로 나눈 후 그 값만 filter()로 가져온다( 공백 제거 )2. 삼항 연산자를 사용하여 두 구분자 사이에 다른 문자가 없을 경우 ["EMPTY"]를 가져오고 그렇지 않으면 split()으로 나눈 배열을 가져온다. 결과function solution(myStr) { var answer = myStr.split(/['a'|'b'|'c']/).filter((x)=>x); return answer.length === 0 ? ["EMPTY"] : answer;} 평소 split()을 사용할 때는 한 개를 기준으로 문자열 배열로 나누었는데 이번 문제를 통해 다양한 조건을 기준으로 배열을 나누는 법을 알게 되었다.. 2024. 5. 17. [ 프로그래머스 ] n의 배수 고르기 문제 풀이 1) filter()로 numlist에서 n의 배수만 가져와 2) toArray() 배열로 만든다. 결과 import java.util.Arrays; class Solution { public int[] solution(int n, int[] numlist) { return Arrays.stream(numlist).filter(i -> i%n==0).toArray(); } } 2024. 3. 17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