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S에서 사용되는 연산자들을 알아보자
증감 연산자
증가 | ++ | 변숫값을 1만큼 증가 |
감소 | -- | 변숫값을 1만큼 감소 |
var a = 10;
var b = a++ + 5; // b=15
var c = 10;
var d = ++c + 5; // d=16
- 증감 연산자는 피연산자(a) 뒤에 있을 때 전체 수식의 처리가 끝난 다음 적용된다.
- 피연산자(c) 앞에 있을 때는 전체 수식을 처리하기 전에 적용된다.
문자형과 숫자형 연산 이해하기
var numVar = 100;
var strVar = "50";
numVar+strVar
"10050"
100과 50을 더하니 둘을 연결한 문자 10050이 나온다
즉 + 기호는 연결 연산자다
numVar - strVar
50
' - '기호는 산술 연산자다
따라서 js에서는 숫자형과 문자형 자료를 더하거나 뺄 때 자동으로 결괏값의 자료형을 지정한다!
비교 연산자
== : 두 수가 같은지 확인
!= : 두 수가 다른지 확인
var a=3, b=4;
a == b
false
b != 6
true
== 와 ===연산자는 모두 좌우 값이 같은지 비교하는 연산자이지만 차이점이 있다.
== 연산자는 문자형 자료와 숫자형 자료가 있을 때 자동으로 자료형을 변환해 비교한다.
하지만 === 연산자는 두 자료형의 변환을 허용하지 않는다.
밑에 예제를 보면서 쉽게 이해해 봅시다 ↓
10 == "10" // 두 자료형을 자동 변환o
true
10 === "10" // 자동 변환X
false
서로 다른 연산자를 계산하는 순서
이렇게 자바스크립트에서 쓰이는 연산자들에 대해 알아보았다.
c와 java에서 쓰이는 연산자와 결이 비슷해서 이해가 잘 됐다 또한 ==와 === 연산자의 차이에 대해서 미처 알지 못했지만 이번 파트를 공부하면서 새롭게 알아가게 됐다.

'WEB > Java 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S] 입력과 출력 (0) | 2023.12.29 |
---|